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32)
React Native Expo publish로 외부에서 사용할 테스트 QR코드 페이지 만들기 Expo publish React Native Expo 프로젝트는 QR 코드를 생성해서 프로젝트를 실행시켜볼 수 있는 Expo publish라는 기능이 있습니다. 만약에 외부 업체 사람들에게 보여줄 필요가 있다면 테스트용으로 보여줄 때 좋겠죠? :) 먼저 Expo의 publish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공식문서 : https://docs.expo.dev/archive/classic-updates/publishing/) 설명을 하자면 exp.direct는 터널링으로 사용하는 도메인이라서 같은 LAN에 있지 않은 다른 사용자와 공동 작업 중인 프로젝트를 전송할 수 있고 액세스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만 컴퓨터에서 번들러 및 개발 서버가 실행되고 있으므로 노트북을 끄거나 Expo CLI를 중지하면 해당 U..
React Naive Expo Some dependencies are incompatible with the installed expo version 가끔 Expo 프로젝트를 실행하다보면 이런 에러가 발생합니다. 이럴 때는 react-naitve 버전을 업데이트 해주면 됩니다. 친절하게 명령어도 있으니까 실행해주세요. //사진처럼 맨 뒤에 설치하라는 버전이 있는데 expo에서 알려주는 자신에게 맞는 버전을 설치해주세요. npx expo install react-native@버전 설치하고나서 다시 프로젝트를 다시 실행하면 메세지 없이 잘 실행됩니다!
expo : 이 시스템에서 스크립트를 실행할 수 없으므로 ...\AppData\Roaming\npm\expo.ps1 파일을 로드할 수 없습니다. expo 명령어를 사용하려다보면 이와 같은 스크립트 실행 오류 에러가 뜰 수 있습니다. 이건 windows에서 스크립트에 대한 권한값이 없어서 그러므로 간단하게 스크립트 권한 설정을 변경해줘요. 먼저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줍니다. (꼭!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스크립트 실행권한을 확인해봅니다. //스크립트 실행권한을 확인하는 명령어 get-ExecutionPolicy 기본 설정값이 사진처럼 Restricted이기 때문에 스크립트가 실행되지 않을 거예요. 이걸 RemoteSigned으로 바꿔주세요. //스크립트 설정을 RemoteSigned으로 변경하는 명령어 Set-ExecutionPolicy RemoteSigned
React Native Expo 앱 실행 시 강제종료 되는 현상 가끔 Expo 프로젝트를 실행할 때 웹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데 ExpoGo 앱에서는 아예 에러로그를 볼 새도 없이 앱이 강제종료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뭐가 문제인지도 알 수 없어서 솔직히 저같은 초보자는 특히나 뭘 수정해야하는지 직접 찾아보는 수 밖에 없죠... :( 이전에 웹에서 Expo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방법을 설명할 때도 썼지만 이렇게 웹에서는 잘 실행되더라도 앱으로는 실행되지 않는 것들이 있습니다. 저의 경우는 style에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저는 원래 웹개발을 주로 하다보니까 웹에서 사용하던 것들이 당연히 있겠지 하면서 습관적으로 작성하다보니까 발생했습니다... 존재하지 않는 요소로 작성한 style로 웹이랑 앱으로 각각 실행 시에 이렇게 웹에서는 문제없이 작동하지만 E..
The code of method _jspService(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is exceeding the 65535 bytes limit 오류 The code of method _jspService(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is exceeding the 65535 bytes limit 원인 : jsp에서 컴파일한 파일 크기가 65535 bytes를 넘을 경우에 발생 해결책 : 해결책은 web.xml설정을 변경하거나 jsp를 쪼개면 된다. 1. 톰캣이나 웹로직의 경우 web.xml에 mappedfile를 설정하면 된다. 단, 가끔 웹로직의 경우 버전에 따라서 해당 설정이 적용되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럴 경우에는 편법이 없으므로 jsp를 쪼개는 방법 밖에 없으니 더 찾지 말자. mappedfile false 2. jsp를 쪼개를 방법 기존에 include file로 되어있으면 해당 파일을 includ..
React Native Expo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실행 오류 Error: adb: failed to install .... 혹은 Error: It took too long to start the Android emulator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의 경우 평소에 잘 되던 것도 갑작스럽게 실행이 안 될 때가 많다. 내가 그런 경우였는데 expo를 실행하려고 하니까 에뮬레이터는 정상적으로 켜졌는데 갑자기 하나는 Error: It took too long to start the Android emulator가 발생하고 다른 걸 추가했더니 Error: adb: failed to install... 하면서 아예 expo앱 자체가 에뮬레이터에 설치가 안되는 상황이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의 경우 따로 Google playstore에서 expo 앱을 다운받을 수도 없기 때문에 난감한 상황이었다. 이럴 때는 직접 수동으로 ExpoGo apk를 설치하면 됩니다. 다행스럽게도 로그를 보면 apk 경로가 있는데 해당 폴더를 열어줍니다. 먼저 ap..
React Native Expo 프로젝트 실행방법 Expo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상세하게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에뮬레이터를 이용하는 방법 -핸드폰을 이용하는 방법 -외부 모바일 앱플레이어를 이용하는 방법 -웹으로 실행하는 방법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기본적으로 Expo 프로젝트를 실행하기 위해서는 로그인이 필요하므로 먼저 Expo 회원가입부터 해줍니다.(만약에 이미 계정이 있다면 이 부분은 생략해주세요.) Expo 사이트에 가서 회원가입을 눌러서 생성해줍니다.(https://expo.dev/) VS를 실행해서 터미널에서 expo 로그인을 해줍니다. expo login -u 아이디 -p 비밀번호 터미널에서 Expo 로그인이 완료되었다는 전제 하에 아래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1.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를 이용하는 ..
React Native Expo 웹에서 디버깅 방법 react native expo 프로젝트 실행 방법 중에서 웹으로 실행할 경우 디버깅은 앱보다 훨씬 쉽습니다. 제일 먼저 웹에서 사용할 경우 브라우저에서 디버깅 확장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저는 엣지나 크롬을 추천드립니다.) 그 다음에 웹으로 프로젝트를 실행합니다. ctrl+shift+I로 개발자모드를 킵니다. 상단에 보면 보라색 아이콘 2개로 디버깅 메뉴가 추가된 것이 보입니다. 애뮬레이터나 핸드폰의 Expo 앱을 통해서 디버깅 하는 방법은 아래를 참고 2023.05.08 - [리액트네이티브] - React Native Expo 앱에서 디버깅 방법
React Native Expo 앱에서 디버깅 방법 리액트 네이티브 ExpoGo 앱을 사용한다는 전제로 디버깅 하는 방법입니다. 먼저 터미널에서 디버깅 툴을 설치해줍니다.(https://www.npmjs.com/package/react-devtools) //전역 설치 npm install -g react-devtools //종속성 설치 npm install --dev react-devtools 터미널에서 npm start로 프로젝트를 실행해줍니다. npm start 새로운 터미널을 하나 더 추가로 열어서 디버깅 툴 명령어를 실행합니다.(기존에 열었던 터미널은 서버 기동용으로 사용해야하기 때문에 꼭 새로운 터미널을 추가해주세요.) react-devtools ExpoGo 앱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클릭하면 자동으로 디버킹 툴이 활성화됩니다. 참조 : Expo 문..
React Native Expo 개발 환경설정 react native로 프로젝트를 만들려면 expo-cli, react native cli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 expo는 결과물을 내기 쉽고 개발을 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제공해주는 라이브러리가 한정적이라는 단점이 있습니다. - react native cli는 타언어를 추가로 사용하는 등 개발의 자유도가 높지만 처음 개발환경 구축이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처럼 입문자 분의 경우 expo를 먼저 경험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저는 window 기준으로 개발 환경설정을 해보겠습니다. ※ 가급적이면 vs나 node.js 전부 설치 시 기본으로 지정된 경로에 설치해주세요! 그래야 에러가 발생해도 검색했을 때 수정하기 쉬워요. 1. Visual Studio Code 설치(htt..

728x90